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한자 부수 214

고전의 향기 한문

by 진현서당 2024. 10. 20. 19:54

본문

1. 개요

 

부수(部首)는 사전에서 한자를 배열하기 위해 고안된 개념이다. 각 글자마다 구성 요소를 추출해 그 중에서 뜻에 해당하는 부분이 비슷한 것을 모아 공통되는 뜻 부분이 있는 모습을 색인에 내어 부수로 삼는다.

 

2. 설명

 

부수는 시대나 자전에 따라 달라졌는데 현재 가장 많이 쓰는 것은 강희자전 방식이다. 한국의 자전과 대만의 중국어 사전에서는 모두 이 방식을 변형 없이 그대로 사용한다. 일본 역시 강희자전식 부수를 많이 쓰지만 신자체에 맞게 약간 변형을 하기도 하며, 간체자를 쓰는 중국 대륙은 한자의 형태가 너무 많이 바뀌어서 강희자전식에서 상당히 변형하여 사용한다. 부수/중국에 간체용 부수가 나와 있다.

 

강희자전보다 앞선 시기에 나왔던 설문해자에서는 540자의 부수가 있었는데 너무 많아서 강희자전에서 214자로 대폭 줄이고 필획수 순으로 정렬하였다. 부수/설문해자에 설문해자의 부수들과 해당 부수에 속한 글자들의 예시가 나와 있다.

 

유니코드에서는 U+2F00 ~ U+2FDF 영역에 배당되어 있다.

 

자전에서는 총 획수가 적은 한자의 경우나 뜻 부분의 추출이 곤란한 경우는 모습이 유사한 부수에 편의상 일괄하는 일이 있다. (ex. : 0)

 

부수는 위치에 따라 다음과 같이 나뉜다.

위치 설명 예시
부수가 글자 왼쪽에 있음 (), ()
부수가 글자 오른쪽에 있음 (), ()
머리 부수가 글자 위에 있음 (), ()
부수가 글자 아래에 있음 (), ()
부수가 왼쪽 위 혹은 오른쪽 위를 감쌈 (广), ()
받침 부수가 왼쪽 아래 혹은 오른쪽 아래를 감쌈 (), (), (), ()
부수가 전체를 감쌈 (), (), (), (), (), ()
제부수 글자 자체가 부수인 것 , ,
기타 부수가 어떤 형태로 위치했는지 도무지 알 수가 없는 것  

 

부수의 배열은 주로 획수 순이고, 획수가 같은 부수는 배열 순서가 따로 정해놓았다. 현재 유니코드는 한자를 포함하는 각 영역 안에서 한자 배열을 부수획수 순서대로 하였다. 강희자전 방식 부수는 모두 214이며, 순서는 정해져 있다.

 

1획에서 5획까지는 그렇지만 6획부터 17획까지는 정자(正字)와 헷갈릴 만한 글자 때문에 특히 한자검정시험에서 부수를 써보라는 문제에서 가장 난감해지기도 한다. 특히 푸를 청(), 용 룡(), 보리 맥(), 사슴 록(鹿), 삼 마(), 북 고(), 쥐 서(), 코 비(), 이 치(), 피리 약() 등 글자들은 대부분이 부수가 따로 달린 글자라고 생각하기 쉽지만 이들 모두 부수자 중 하나이다. 다닐 행() 또한 얼핏 보면 3획이라고 생각하기 쉽지만 그게 아니라 자체가 통째로 부수이며 의 가운데 부분에 다른 글자가 삽입되는 식으로 쓰인다. 이는 한자가 상형문자에서 예서로 간략화되는 과정에서 일종의 수렴진화를 겪으며 거짓짝 신세가 돼버린 것이다.

 

부수와 한자가 어디에 결합하느냐에 따라 같은 한자일 수도, 다른 한자일 수도 있다. 전자의 경우 -(봉우리 봉), -(부끄러울 참), -(바둑 기), -(옆구리, 으를 협), -(무리 군), -(속 리), -(옷 치렁거릴 배), -(거울 감), -(이웃 린) 등이 있다. 후자의 경우 (읊을 음)-(머금을 함), (때 구)-(두터울 후), (주울 습)-(잡을 나), (바쁠 망)-(잊을 망), (즐거울 유)-(나을 유), (도리깨 가)-(시렁 가), (강 강)-(수은 홍), (무늬 문)-(얽힐 문), (육부 부)-(썩을 부), (벗을 라)-(쌀 과), (포대기 보)-(기릴 포), (번쩍일 섬)-(몸을 숨겼다가 갑자기 나와서 사람을 놀라게 하는 소리 혹/) 등이 있다. (배 댈 박)-(샘 천), (여러 루, )-(가늘 세, ←⿰糸囟) 등 부수를 제외한 부분이 다른 글자였으나 같은 모양으로 바뀐 한자도 있다.

 

일부 가문에서 한자의 부수만으로 항렬을 정하기도 한다.

 

 

3. 목록

 

1

 

한 일, , , , , ,

뚫을 곤, ,

점 주, , ,

丿 삐침 별, , , , ,

새 을, , , , , ,

갈고리 궐, , ,

 

2

 

두 이, , , , ,

돼지해머리 두, , , , ,

사람 인, , , , ,

어진사람 인, , , , ,

들 입, , ,

여덟 팔, , , , ,

멀 경, , , ,

덮을 멱, ,

얼음 빙, , , ,

안석 궤, ,

입 벌릴 감, , , , ,

칼 도, , , , , ,

힘 력, , , , ,

쌀 포, , , *먹는 쌀이 아니라, 동사 '싸다(감싸다)'의 관형사형이다.

비수 비, , ,

상자 방, , ,

감출 혜, , ,

열 십, , , , ,

점 복, , ,

병부 절, , , , ,

기슭 엄, , ,

사사 사, ,

또 우, , , , ,

 

3

 

입 구, , , , ,

나라 국, , , , ,

흙 토, , , , ,

선비 사, , , , ,

뒤쳐져 올 치, , , ,

천천히 걸을 쇠, , ,

저녁 석, , , , ,

큰 대, , , , , ,

계집 녀, , , , ,

아들 자, , , , , ,

집 면, , , , ,

마디 촌, , , , ,

작을 소, , , ,

절름발이 왕, , , ,

주검 시, , , , , ,

왼손 좌, , , , ,

메 산, , , , , ,

내 천, , , , ,

장인 공, , , , ,

몸 기, , , , , ,

수건 건, , , , ,

방패 간, , , , , ,

작을 요, , , , ,

广 집 엄, 广, , , ,

길게 걸을 인, , , ,

받들 공, , , ,

주살 익, , , , , ,

활 궁, , , , ,

돼지 머리 계, , , ,

터럭 삼, , , , ,

조금 걸을 척, ,, , ,

 

4

 

마음 심, , , , , ,

창 과, , , , ,

집 호, , , ,

손 수, , , , , ,

지탱할 지, ,

칠 복, , , , ,

글월 문, , , , ,

말 두, , , ,

근 근, , , ,

모 방, , , , ,

없을 무, , , *와 같은 글자다.

날 일, , , , ,

가로 왈, , , , ,

달 월, , , ,

나무 목, , , , ,

하품 흠, (일본에서는 (이지러질 결)의 신자체로 쓴다.), ,

그칠 지, , , , ,

살 바른 뼈 알, , , ,

몽둥이 수, , , , ,

말 무, , ,

견줄 비, , ,

터럭 모, , , ,

각시 씨, , ,

기운 기, , , ,

물 수, , , , , ,

불 화, , , , , ,

손톱 조, , ,

아버지 부, , ,

사귈 효, , ,

나뭇조각 장, , , ,

조각 편, , ,

어금니 아, , , ,

소 우, , , ,

개 견, , , , , ,

 

5

 

검을 현, , ,

구슬 옥, , , ,

오이 과, , ,

기와 와, , ,

달 감, , , ,

날 생, , ,

쓸 용, , , ,

밭 전, , , , ,

짝 필, , ,

병들어 기댈 녁, 疾病, 痛症, ,

등질 발, , ,

흰 백, , , ,

가죽 피, , ,

그릇 명, , , , ,

눈 목, , , , ,

창 모, , ,

화살 시, , , ,

돌 석, , , ,

보일 시, , , 祈禱, ,

발자국 유, , , ,

벼 화, , , , ,

구멍 혈, , , ,

설 립, , , ,

 

6

 

대 죽, , , , ,

쌀 미, , , , , ,

가는 실 멱, (일본에서는 (실 사)의 신자체로 쓴다.), , , ,

장군 부, (일본에서는 (두레박 관)의 신자체로 쓴다.), ,

그물 망, , , , ,

양 양, , , , ,

깃 우, , , , ,

늙을 로, , ,

말이을 이, , , , ('장난감 솨'라는 한자이다. (중요할 요)와 헷갈리지 말 것.)

가래 뢰, , ,

귀 이, , , , ,

붓 율, , ,

고기 육, , , , , ,

신하 신, , ,

스스로 자, ,

이를 지, , ,

절구 구, , , ,

혀 설, , ,

어그러질 천, ,

배 주, , , ,

괘이름 간, , ,

빛 색, ,

풀 초, , 葡萄, ,

호피무늬 호, , , ,

벌레 훼, (일본 및 중국에서는 (벌레 충)의 신자체 및 간체자로 쓴다.), , , 螳螂, 蜜蜂,

피 혈, , ,

다닐 행, , , ,

옷 의, , , , ,

덮을 아, 西, ,

 

7

 

볼 견, , , ,

뿔 각, , , ,

말씀 언, , , , ,

골 곡, , 谿

콩 두, , ,

돼지 시, , , , (의 본자.)

벌레 치, , ,

조개 패, , , 賣買, ,

붉을 적, , ,

달릴 주, , , ,

발 족, , , ,

몸 신, ,

수레 거, , , ,

매울 신, , ,

별 진, , ,

쉬엄쉬엄 갈 착, , , , , ,

고을 읍, , , , ,

닭 유, , , , *본래 ''이라는 뜻이었는데 '열째 지지'라는 뜻으로 가차되었다.

분별할 변, , ,

마을 리, , , ,

 

8

 

쇠 금, , , , ,

길 장, ,

문 문, , , , ,

언덕 부(좌부변), , , , , ,

미칠 이, , (와 동자)

새 추, , , , ,

비 우, , , , , ,

푸를 청, , ,

아닐 비, , ,

 

9

 

낯 면, , ,

가죽 혁, , , , ,

가죽 위, , ,

부추 구, ,

소리 음, , ,

머리 혈, , , , , ,

바람 풍, , ,

날 비, ,

밥 식, , ,

머리 수, , ,

향기 향, , , ,

 

10

 

말 마, , , , , ,

뼈 골, , ,

높을 고, , (의 속자), ,

늘어질 표, ,

싸울 투, ,

울창주 창, , *고대 종묘제사에 쓰던 향주로 울금의 향과 옻기장으로 빚는다.

막을 격, , ,

귀신 귀, , , , ,

 

11

 

물고기 어, , , ,

새 조, , , , , ,

소금 로, , ,

鹿 사슴 록, 鹿, , 麒麟,

보리 맥, ,

삼 마, ,

 

12

 

누를 황, ,

기장 서, ,

검을 흑, , , ,

바느질할 치, , ,

 

13

 

맹꽁이 맹, ,

솥 정, ,

북 고, , (북 칠 고, 와 동자),

쥐 서, , ,

 

14

 

코 비, ,

가지런할 제, ,

 

15

 

이 치, , ,

 

16

 

용 룡, , , 𪚥,

거북 귀,

 

17

 

피리 약, , , ,

 

한자부수 214 정리

 

한자부수 외우기

 

728x90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