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부수(部首)를 혼동하기 쉬운 한자

고전의 향기 한문

by 진현서당 2024. 10. 20. 20:54

본문

1. 개요

 

여러 이유로 부수(部首)를 혼동하기 쉬운 한자(漢字)를 설명하는 문서이다. 이 문서에서는 강희자전(康熙字典)에서 유래한 부수 체계를 따른다.

 

2. 혼동하는 이유

 

예서(隸書)에서의 수렴 진화

 

갑골 문자로부터 예서(隸書)로 이행하는 과정에서 쓰기 쉽게 각진 형태로 자형이 변형되었는데, 이때 일부분의 모양이 겹치는 경우가 생겨나 부수(部首)를 혼동하기 쉽게 되었다. 주로 제부수 한자가 이런 경우다.

 

이 때문에 모양이 같거나 비슷한 부수들이 생겨서 혼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양이 비슷한 흙 토()와 선비 사()는 둘 다 부수(部首)인데, 이쪽은 두 가로획 중 아래가 더 길면 흙 토()이고 위가 더 길면 선비 사()인 것으로 구별할 수 있다. 반면, 날 일()과 가로 왈()은 단독으로 쓰일 경우 가로 왈()이 옆으로 더 넓은 것으로 어느 정도 구별이 가능하지만, 다른 글자의 일부로 쓰일 때는 구별하기 어렵게 된다. 대표적인 예로 물이름 멱()과 물흐를 율()은 각각 날 일()과 가로 왈()이 쓰였는데, '골몰할 골()'이라는 훈음은 본래 후자에만 있었으나 두 글자를 구별하기 어려웠던 탓에 전자에도 해당 훈음이 붙게 되었다. 그리고 앞에서 예로 든 흙 토()와 선비 사()의 경우에도 해당 부수에 속한 술통 준()과 너풀거려 출 준()이 판박이처럼 비슷하다. 이런 문제 때문에 중국 간화자(简化字)의 부수 체제에서는 모양이 비슷한 부수들이 통합되었다.

 

회의자(會意字)

 

회의자(會意字)는 구성 요소들이 비교적 동등한 지위로 결합한 글자이기 때문에, 그 요소들 중 어느 것이 부수인지 헷갈리기 쉽다. 일례로 서로 상()은 나무 목()부일까 눈 목()부일까? 답은 눈 목(). 최신 옥편(玉篇)에서는 이렇게 부수(部首)를 헷갈리기 쉬운 글자들을 찾기 쉽게 하기 위해, 부수(部首)로 생각될만한 쪽에 다 수록해놓고 뜻풀이는 진짜 부수(部首)인 쪽에서 찾도록 알려준다. 이를테면 서로 상()을 눈 목()부에 넣어두되 나무 목()5획에서도 수록은 하고 뜻풀이는 눈 목()4획에서 찾도록 알려주는 식이다. ,

 

형성자(形聲字)의 예외

 

형성자(形聲字)의 경우에도 이런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의부(意部 뜻을 담고 있는 한자)와 성부(聲部 음을 담고 있는 한자)로 이루어진 형성자(形聲字)는 대개 의부(意部) 쪽이 부수지만 예외로 성부(聲部) 쪽이 부수인 경우도 가끔 있다. 일례로 술 주()는 삼수변 쪽이 의부(意部)고 닭 유 쪽이 성부(聲部)니 물 수부(水部)라고 생각하기 쉽지만 답은 닭 유부(酉部). 이렇게 된 데는 뭔가 사정이 있는데 원래 닭 유()는 술단지를 형상화한 글자였는데 나중에 십이지(十二支) 중 하나인 닭의 뜻으로 쓰이게 되자 원래의 뜻을 살려내기 위해 기존의 에 삼수변을 붙인 글자를 추가했기 때문. 이 경우도 마찬가지로 최신 옥편에서는 술 주를 닭 유부(酉部)에 넣어두되 물 수부(水部) 7획에서도 수록은 하고 뜻풀이는 닭 유부 3획에서 찾도록 알려주는 식으로 하고 있다.

 

부수 통폐합

 

자형(字形)이 확립되는 과정에서 구성 요소들 중 부수가 될 만한 부분을 상실하거나, 구성 요소들 중에 부수(部首)가 되는 부분이 없는 글자들이 있다. 예를 들어, 잡을 집()은 다행 행()과 쥘 극()의 회의자(會意字)로 설문해자(說文解字)에서는 다행 행() 부수에 속했지만 강희자전(康熙字典)에서는 너무 많은 부수들을 정리하는 과정에서 다행 행부(幸部)를 해체했기 때문에 갈 데가 없어져버렸다. 다행 행()은 비슷한 모양인 매울 신()이 아닌 아래쪽 부분 방패 간()부로 갔는데, 이 글자는 방패 간부(干部)가 아니라 엉뚱하게도 다행 행()의 위쪽인 흙 토()부로 들어가버렸다. 이런 건 그냥 겪어보고 외울 수밖에 없다. 갚을 보()도 마찬가지로 방패 간부(干部)가 아닌 흙 토부(土部)에 있다. 까마귀 오()도 새 조() 부수에 속해야 할 듯하지만, 1획이라고 쓸 수 없기 때문에 똑같이 사실상 -1획인 , ? 관련성이 적은 불 화(, 여기서는 연화발 )부에 있다. 마칠 료() 역시 아들 자()-1획 대신 갈고리 궐()1획이 되었다. 모 방() 부수에 속하는 한자는 대부분 깃발과 관련되어 있는데, 원래 깃발 나부낄 언() 부수에 속한 한자들이 모 방() 부수(部首)로 흡수되었기 때문이다.

 

윤달 윤()도 이런 경우인데 이 경우는 위의 형성자(形聲字) 예외에도 속하는 경우다. 원래 부수가 540자가 있었던 설문해자(說文解字)에서는 구슬 옥()과 별도로 임금 왕() 부수가 존재해서 거기에 속했지만 강희자전(康熙字典)에서는 부수 체계를 214자 체계로 개편하면서 해체된 부수에 속했던 글자들을 다른 부수로 이동시켰는데 윤달 윤() 또한 임금 왕부(王部)를 해체하면서 문 문부(文部)로 이동시켰기 때문이다.

 

3. 목록

 

한자의 음()을 기준으로 하여 가나다순으로 정렬하며, ()이 같을 경우에는 훈()에 따라 가나다순으로 정렬한다.

 

 

(더할 가): (입 구)부가 아니라 (힘 력)부이다.

(갑옷 갑): (밭 전)부이다.[]

(다 개): (견줄 비)부가 아니라 (흰 백)부이다.

(갈 거): (흙 토)부가 아니라 (사사 사)부이다.

(수건 건)제부수: (뚫을 곤)부가 아니라 (수건 건)부이다.

(개 견)제부수: (큰 대)부가 아니라 (개 견)부이다.

(고치 견): (풀 초)부가 아니라 (가는실 멱)부이다.

(볼 견)제부수: (눈 목)부가 아니라 (볼 견)부이다.

(경사 경): 广(집 엄)부가 아니라 (마음 심)부이다.

(고칠 경): (가로 왈)부이다

(마침내 경): (설 립)부이다.

(계절 계): (벼 화)부가 아니라 (아들 자)부이다.

(높을 고)제부수: (돼지해머리 두)부가 아니라 (높을 고)부이다.

(독벌레/고혹할 고): (그릇 명)부가 아니라 (벌레 훼)부이다.

(북 고)제부수: (지탱할 지)부가 아니라 (북 고)부이다.

(예 고): (열 십)부가 아니라 (입 구)부이다.

(뼈 골)제부수: (고기 육)부가 아니라 (뼈 골)부이다.

(과목 과): (말 두)부가 아니라 (벼 화)부이다.

(오이 과)제부수: (손톱 조)부가 아니라 (오이 과)부이다.

(뀉 관): (말 무)부가 아니라 (조개 패)부이다.

(기름새 괴): (칼 도)부가 아니라 (풀 초)부이다.

(아홉 구): (새 을)부이다.

(부추 구)제부수: (아닐 비)부가 아니라 (부추 구)부이다.

(군사 군): (덮을 멱)부가 아니라 (수레 차)부이다.

(제비꽃 근): (풀 초)부가 아니라 (흙 토)부이다.

(주걱턱 금): (쇠 금)부가 아니라 (머리 혈)부이다.

(미칠 급): 丿(삐침 별)부가 아니라 (또 우)부이다.

(경기 기): (밭 전)부이다.

(그릇 기): (개 견)부가 아니라 (입 구)부이다.

(몸 기)제부수: (몸 기)부이다.[]

(몇 기): (작을 요)부이다.

(어찌 기): (메 산)부가 아니라 (콩 두)부이다.

 

 

(안 내): (멀 경)부가 아니라 (들 입)부이다.

(해 년): (방패 간)부이다.

 

 

(붉을 단): (한 일)부가 아니라 (점 주)부이다.

(이를 도): (이를 지)부가 아니라 (칼 도)부이다.

(돼지 돈): (고기 육)부가 아니라 (돼지 시)부이다.

(한가지 동): (멀 경)부가 아니라 (입 구)부이다.

(머리 두): (콩 두)부가 아니라 (머리 혈)부이다.

(진칠 둔): (왼손 좌)부이다.

(오를 등): (달 월)부나 (고기 육)부가 아니라 (말 마)부이다.

(베낄 등): (달 월)부나 (고기 육)부가 아니라 (말씀 언)부이다.

 

 

(섣달 랍): (달 월)부가 아니라 (고기 육)부이다.

(올 래): (나무 목)부가 아니라 (사람 인)부이다.

(어질 량): (점 주)부가 아니라 (그칠 간)부이다.

(개펄 로)제부수: (점 복)부가 아니라 (개펄 로)부이다.

鹿(사슴 록)제부수: 广(집 엄)부가 아니라 鹿(사슴 록)부이다.

(헤아릴 료): (쌀 미)부가 아니라 (말 두)부이다.

(용 룡)제부수: (설 립)부가 아니라 (용 룡)부이다.

(여섯 륙): (돼지해머리 두)부가 아니라 (여덟 팔)부이다.

(굴레 륵): (가죽 혁)부가 아니라 (힘 력)부이다.

(이할 리): (벼 화)부가 아니라 (칼 도)부이다.

 

 

(두꺼비 마): (풀 초)부가 아니라 (벌레 훼)부이다.

(마귀 마): 广(집 엄)부나 (삼 마)부가 아니라 (귀신 귀)부이다.

(삼 마)제부수: 广(집 엄)부가 아니라 (삼 마)부이다.

(없을 망): (멀 경)부가 아니라 (그물 망)부이다.

(어리석을 매): (나무 목)부가 아니라 (입 구)부이다.

(보리 맥)제부수: (돼지해머리 두)부가 아니라 (보리 맥)부이다.

(가는실 멱)제부수: (작을 요)부가 아니라 (가는실 멱)부이다.

(목숨 명): (사람 인)부가 아니라 (입 구)부이다.

(울 명): (입 구)부가 아니라 (새 조)부이다.

(무릅쓸 모): (눈 목)부가 아니라 (멀 경)부이다.

(아무 모): (달 감)부가 아니라 (나무 목)부이다.

(칠 목): (칠 복)부가 아니라 (소 우)부이다.

(꿈 몽): (풀 초)부가 아니라 (저녁 석)부이다.

(호반 무): (주살 익)부가 아니라 (그칠 지)부이다.

(글월 문)제부수: (돼지해머리 두)부가 아니라 (글월 문)부이다.

(들을 문): (문 문)부가 아니라 (귀 이)부이다.

(물을 문): (문 문)부가 아니라 (입 구)부이다.

(말 물): (쌀 포)부이다.

(꼬리 미): (터럭 모)부가 아니라 (주검 시)부이다.

(쓰러질 미): : 广(집 엄)부나 (삼 마)부가 아니라 (아닐 비)부이다.

(아름다울 미): (큰 대)부가 아니라 (양 양)부이다.

(빽빽할 밀): (집 면)부이다.

(꿀 밀): (집 면)부가 아니라 (벌레 훼)부이다.

 

 

(모 방)제부수: (돼지해머리 두)부가 아니라 (모 방)부이다.

(넋 백): (흰 백)부가 아니라 (귀신 귀)부이다.

(일백 백): (한 일)부가 아니라 (흰 백)부이다.

(말씀 변): (말씀 언)부가 아니라 (매울 신)부이다.

(변할 변): (칠 복)부가 아니라 (말씀 언)부이다.

(분별할 변)제부수: (벼 화)부가 아니라 (분별할 변)부이다.

(갚을 보): (방패 간)부가 아니라 (흙 토)부이다.[]

(견줄 비)제부수: (비수 비)부가 아니라 (견줄 비)부이다.

(고삐 비): (입 구)부가 아니라 (수레 거/)부이다.

(도울 비): (밭 전)부가 아니라 (견줄 비)부이다.

(코 비)제부수: (스스로 자)부가 아니라 (코 비)부이다.

(손 빈): (집 면)부가 아니라 (조개 패)부이다.

 

 

 

(뱀 사): (몸 기)부이다.[]

(사사 사): (사사 사)부가 아니라 (벼 화)부이다.

(절 사): (흙 토)부가 아니라 (마디 촌)부이다.

(집 사): (사람 인)부가 아니라 (혀 설)부이다.

(석 삼): (한 일)부이다.

(서른 삽): (내 천)부가 아니라 (열 십)부이다.

(맛볼 상): (입 구)부이다.

(서로 상): (나무 목)부가 아니라 (눈 목)부이다.

(위 상): (점 복)부가 아니라 (한 일)부이다.

(장사 상): (돼지해머리 두)부가 아니라 (입 구)부이다.

(글 서): (붓 율)부가 아니라 (가로 왈)부이다.

(사위 서): (흙 토)부가 아니라 (선비 사)부이다.[]

西(서녘 서): (닭 유)부가 아니라 (덮을 아)부이다.

(쥐 서)제부수: (절구 구)부가 아니라 (쥐 서)부이다.

(자리 석): 广(집 엄)부가 아니라 (수건 건)부이다.

(착할 선): (양 양)부가 아니라 (입 구)부이다.

(성인 성): (입 구)부가 아니라 (귀 이)부이다.

(부를 소): (칼 도)부가 아니라 (입 구)부이다.

(드리울 수): (흙 토)부이다.

(목숨 수): (입 구)부나 (마디 촌)부가 아니라 (선비 사)부이다.

(받을 수): (손톱 조)부가 아니라 (또 우)부이다.

(누구 숙): (아들 자)부이다.

(엄숙할 숙): (붓 율)부이다.

(열흘 순): (쌀 포)부가 아니라 (날 일)부이다.

(익힐 습): (흰 백)부가 아니라 (깃 우)부이다.

(오를 승): (날 일)부이다.

(이길 승): (달 월)부나 (고기 육)부가 아니라 (힘 력)부이다.

(이을 승): (손 수)부이다.

(탈 승): (나무 목)부가 아니라 丿(삐침 별)부이다.

(볼 시): (보일 시)부가 아니라 (볼 견)부이다.

(법 식): (장인 공)부가 아니라 (주살 익)부이다.

(좀먹을 식): (/먹을 식)부가 아니라 (벌레 훼)부이다.

(납 신): (뚫을 곤)부가 아니라 (밭 전)부이다.[]

(매울 신)제부수: (돼지해머리 두)부가 아니라 (매울 신)부이다.

(잃을 실): (화살 시)부가 아니라 (큰 대)부이다.

 

 

(기러기 안): (기슭 엄)부가 아니라 (새 추)부이다.

(사랑 애): (손톱 조)부가 아니라 (마음 심)부이다.

(밤 야): (돼지해머리 두)부가 아니라 (저녁 석)부이다.

(어조사 야): (새 을)부이다.

(어조사 야): (고을 읍)부가 아니라 (귀 이)부이다.

(피리 약)제부수: (사람 인)부가 아니라 (피리 약)부이다.

(같을 여): (입 구)부가 아니라 (계집 녀)부이다.

(줄 여): (여덟 팔)부가 아니라 (절구 구)부이다.

輿(수레 여): (여덟 팔)부나 (절구 구)부가 아니라 (수레 차)부이다.

(바꿀 역): (날 일)부이다.

(땅이름 연): (돼지해머리 두)부가 아니라 (어진사람 인)부이다.

(까마귀 오): (새 조)부가 아니라 (불 화)부이다.

(낮 오): (소 우)부가 아니라 (열 십)부이다.

(누울 와): (사람 인)부가 아니라 (신하 신)부이다.

(임금 왕): (구슬 옥)부이다.

(바깥 외): (점 복)부가 아니라 (저녁 석)부이다.

(요긴할 요): (여자 녀)부가 아니라 (덮을 아)부이다.

(얼굴 용): (구멍 혈)부가 아니라 (집 면)부이다.[12]

(어조사 우): (방패 간)부가 아니라 (두 이)부이다.

(에워쌀 위)제부수: (입 구)부가 아니라 (에워쌀 위)부이다. 이는 주위가 사각형으로 싸인 글자들{(나라 국), (그림 도) }에 공통적으로 해당되는 사항이다.

(인원 원): (조개 패)부가 아니라 (입 구)부이다.

(위엄 위): (창 과)부가 아니라 (계집 녀)부이다.

(맡길 위): (벼 화)부가 아니라 (여자 녀)부이다.

(그윽할 유): (메 산)부가 아니라 (작을 요)부이다.

(말미암을 유): (밭 전)부이다.[]

(발자국 유)제부수: (멀 경)부가 아니라 (발자국 유)부이다.

(어릴 유): (힘 력)부가 아니라 (작을 요)부이다.

(있을 유): (고기 육)부가 아니라 (달 월)부이다.

(어조사 의): (화살 시)부이다.

(옷 의)제부수: (돼지해머리 두)부가 아니라 (옷 의)부이다.

(다를 이): (여덟 팔)부가 아니라 (밭 전)부이다.

(오랑캐 이): (활 궁)부가 아니라 (큰 대)부이다.

(이미 이): (몸 기)부이다.[]

(도울 익): (설 립)부가 아니라 (깃 우)부이다.

(북방 임): 丿(삐침 별)부가 아니라 (선비 사)부이다.

 

 

(글자 자): (집 면)부가 아니라 (아들 자)부이다.

(스스로 자)제부수: (눈 목)부가 아니라 (스스로 자)부이다.

(쪼갤 작): (돌 석)부가 아니라 (도끼 근)부이다.

(장수 장): (나뭇조각 장)부가 아니라 (마디 촌)부이다.[15]

(옷마를 재): (창 과)부가 아니라 (옷 의)부이다.

(재주 재): (손 수)부이다.

(붉을 적)제부수: (흙 토)부가 아니라 (붉을 적)부이다.

(밭 전)제부수: (밭 전)부이다.[]

(점칠 점): (입 구)부가 아니라 (점 복)부이다.

(곧을 정): (점 복)부가 아니라 (조개 패)부이다.

(바를 정): (한 일)부가 아니라 (그칠 지)부이다.

(우물 정): (두 이)부이다.

(솥 정)제부수: (눈 목)부가 아니라 (솥 정)이다.

(편안할 정): (설 립)부가 아니라 (푸를 청)부이다.

(가지런할 제)제부수: (돼지해머리 두)부가 아니라 (가지런할 제)부이다.

(가지 조): (사람 인)부가 아니라 (나무 목)부이다.

(조상할 조): (활 궁)부이다.

(조두 조): (칼 도)부이다.

(마칠 졸): (돼지해머리 두)부가 아니라 (열 십)부이다.

(낮 주): (붓 율)부가 아니라 (날 일)부이다.

(술 주): (물 수)부가 아니라 (닭 유)부이다.

(너풀거려 출 준): (흙 토)부가 아니라 (선비 사)부이다.[] 다만, 비슷한 모양의 (술통 준)부이다.

(일찍 증): (날 일)부가 아니라 (가로 왈)부이다.

(갈 지): (돼지해머리 두)부가 아니라 丿(삐침 별)부이다.

(다만 지): (여덟 팔)부가 아니라 (입 구)부이다.

(모을 집): (나무 목)부가 아니라 (새 추)부이다.

(잡을 집): (방패 간)부가 아니라 (흙 토)부이다.[]

 

 

(버금 차): (얼음 빙)부가 아니라 (하품 흠)부이다.

(참여할 참): (터럭 삼)부가 아니라 (사사 사)부이다.

(울창주 창)제부수: (비수 비)부가 아니라 (울창주 창)부이다.

(창성할 창):(날 일)부이다.

(화창할 창):(날 일)부이다.

(풍채 채): (나무 목)부가 아니라 (분별할 변)부이다.

(책 책): (멀 경)부이다.

(어그러질 천)제부수: (저녁 석)부가 아니라 (어그러질 천)부이다.

(일천 천): (방패 간)부가 아니라 (열 십)부이다.

(뾰족할 첨): (큰 대)부가 아니라 (작을 소)부이다.

(푸를 청)제부수: (푸를 청)부이다.

(처음 초): (옷 의)부가 아니가 (칼 도)부이다.

(새 추)제부수: (사람 인)부가 아니라 (새 추)부이다.

(가질 취): (귀 이)부가 아니라 (또 우)부이다.

(이 치)제부수: (그칠 지)부가 아니라 (이 치)부이다.

(이를 치): (칠 복)부가 아니라 (이를 지)부이다.

(일곱 칠): (비수 비)부가 아니라 (한 일)부이다.

 

 

 

(싸울 투)제부수: (문 문)부가 아니라 (싸울 투)부이다.

 

 

(조개 패)제부수: (눈 목)부가 아니라 (조개 패)부이다.

(죽을 폐): (뼈앙상할 알)부가 아니라 (칠 복)부이다.

(늘어질 표)제부수: (터럭 삼)부가 아니라 (늘어질 표)부이다.

(표 표): (덮을 아)부가 아니라 (보일 시)부이다.

(바람 풍)제부수: (안석 궤)부가 아니라 (바람 풍)부이다.

 

 

(아래 하): (점 복)부가 아니라 (한 일)부이다.

(여름 하): (뒤져올 치)부가 아니라 (천천히걸을 쇠)부이다.

(찰 한): (얼음 빙)부가 아니라 (집 면)부이다.

(다 함): (창 과)부가 아니라 (입 구)부이다.

(합할 합): (사람 인)부가 아니라 (입 구)부이다.

(거리 항): (몸 기)부이다.

(어찌 해): (손톱 조)부가 아니라 (큰 대)부이다.

(다닐 행)제부수: (조금걸을 척)부가 아니라 (다닐 행)부이다. 이는 뿐만 아니라 사이에 부건이 들어가는 한자들{(거리 가), (호위할 위) }에 공통적으로 해당되는 사항이다.

(다행 행): (흙 토)부나 (매울 신)부가 아니라 (방패 간)부이다.[]

(향기 향)제부수: (벼 화)부가 아니라 (향기 향)부이다.

(법 헌): (집 면)부가 아니라 (마음 심)부이다.

(검을 현)제부수: (돼지해머리 두)부가 아니라 (검을 현)부이다.

(구멍 혈)제부수: (집 면)부가 아니라 (구멍 혈)부이다.

(피 혈)제부수: (그릇 명)부가 아니라 (피 혈)부이다.

(되 호): (달 월)부가 아니라 (고기 육)부이다.

(부를 호): (입 구)부가 아니라 (호피무늬 호)부이다.

(혹 혹): (창 과)부이다.

(그림 화): (붓 율)부가 아니라 (밭 전)부이다.

(될 화): (사람 인)부가 아니라 (비수 비)부이다.

(둥글 환): (점 주)부이다.

(모일 회): (날 일)부가 아니라 (가로 왈)부이다.

(불 후): (불 화)부가 아니라 (입 구)부이다.

(죽을 훙): (뼈앙상할 알)부가 아니라 (풀 초)부이다.

(풀 훼): (받들 공)부가 아니라 (열 십)부이다.

(빛날 휘): (어진사람 인)부가 아니라 (수레 차)부이다.

(일 흥): (여덟 팔)부가 아니라 (절구 구)부이다.

(기쁠 희): (선비 사)부가 아니라 (입 구)부이다.

728x90
반응형

'고전의 향기 한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채두봉 - 육유와 당완의 슬픈 사랑 이야기 -  (2) 2024.12.22
구결표 정리  (0) 2024.10.20
한자 부수 214  (3) 2024.10.20
팔진미(八珍味)  (11) 2024.10.01
도둑의 자식 교육 [盜子說 도자설]  (10) 2024.09.19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