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1. 牋牒簡要전첩간요요 顧答審詳고답심상이라.
881 | 882 | 883 | 884 | 885 | 886 | 887 | 888 |
牋 | 牒 | 簡 | 要 | 顧 | 答 | 審 | 詳 |
편지 전 | 편지 첩 | 대쪽 간 | 요긴할 요 | 돌아볼 고 | 대답할 답 | 살필 심 | 자세할 상 |
牋 | 牒 | 簡 | 要 | 顧 | 答 | 審 | 詳 |
간략할 간 | |||||||
편지는 간단하고 긴요해야 하고, 묻고 답함은 살피고 자세하여야 한다. |
112. 骸垢想浴해구상욕하고 執熱願涼집열원량이라.
889 | 890 | 891 | 892 | 893 | 894 | 895 | 896 |
骸 | 垢 | 想 | 浴 | 執 | 熱 | 願 | 凉 |
뼈 해 | 때 구 | 생각 상 | 목욕 욕 | 잡을 집 | 뜨거울 열 | 원할 원 | 서늘할 량 |
骸 | 垢 | 想 | 浴 | 執 | 熱 | 願 | 凉 |
몸에 때가 있으면 씻기를 생각하고, 뜨거운 것을 잡으면 서늘해지기를 원한다. |
113. 驢騾犢特여라독특과 駭躍超驤해약초양이라.
897 | 898 | 899 | 900 | 901 | 902 | 903 | 904 |
驢 | 騾 | 犢 | 特 | 駭 | 躍 | 超 | 驤 |
나귀 려 | 노새 라 | 송아지 독 | 특별 특 | 놀랄 해 | 뛸 약 | 뛸 초 | 달릴 양 |
驢 | 騾 | 犢 | 特 | 駭 | 躍 | 超 | 驤 |
소 특 | |||||||
나귀와 노새와 송아지, 즉 가축을 말한다. 뛰고 달리며 노는 가축의 모습을 말한다. |
114. 誅斬賊盜주참적도하고 捕獲叛亡포획반망이라.
905 | 906 | 907 | 908 | 909 | 910 | 911 | 912 |
誅 | 斬 | 賊 | 盜 | 捕 | 獲 | 叛 | 亡 |
벨 주 | 벨 참 | 도둑 적 | 도둑 도 | 사로잡을 포 | 얻을 획 | 배반할 반 | 도망 망 |
誅 | 斬 | 賊 | 盜 | 捕 | 獲 | 叛 | 亡 |
해칠 적 | 사로잡을 획 | ||||||
역적과 도적을 베어 물리침. 배반하고 도망하는 자를 잡아 죄를 다스린다. |
115. 布射僚丸포사료환하고 嵇琴阮嘯혜금완소라.
913 | 914 | 915 | 916 | 917 | 918 | 919 | 920 |
布 | 射 | 僚 | 丸 | 嵇 | 琴 | 阮 | 嘯 |
베 포 | 쏠 사 | 동관 료 | 탄환 환 | 뫼 혜 | 거문고 금 | 성 완(원) | 휘파람불 소 |
布 | 射 | 僚 | 丸 | 嵇 | 琴 | 阮 | 嘯 |
여포(呂布)는 활을 잘 쏘고 웅의료(熊宜僚)는 탄환을 잘 놀리며, 혜강(嵇康)은 거문고를 잘 타고 완적(阮籍)은 휘파람을 잘 분다. |
천자문 1 심초편(沁抄篇) 새겨 쓰기 하루 40자(961-1000) (0) | 2024.09.20 |
---|---|
천자문 1 심초편(沁抄篇) 새겨 쓰기 하루 40자(921-960) (3) | 2024.09.20 |
천자문 1 심초편(沁抄篇) 새겨 쓰기 하루 40자(841-880) (1) | 2024.09.19 |
천자문 1 심초편(沁抄篇) 새겨 쓰기 하루 40자(801-840) (0) | 2024.09.19 |
천자문 1 심초편(沁抄篇) 새겨 쓰기 하루 40자(761-800) (3) | 2024.09.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