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 女慕貞烈여모정렬하고 男效才良남효재량이라.
161 | 162 | 163 | 164 | 165 | 166 | 167 | 168 |
女 | 慕 | 貞 | 烈 | 男 | 效 | 才 | 良 |
계집 녀 | 사모할 모 | 곧을 정 | 매울 렬 | 사내 남 | 본받을 효 | 재주 재 | 어질 량 |
女 | 慕 | 貞 | 烈 | 男 | 效 | 才 | 良 |
여자는 정조를 굳게 지키고 행실을 단정하게 해야 함을 말한다. 남자는 재능을 닦고 어진 것을 본받아야 함을 말한다. |
22. 知過必改지과필개하고 得能莫忘득능막망하라.
169 | 170 | 171 | 172 | 173 | 174 | 175 | 176 |
知 | 過 | 必 | 改 | 得 | 能 | 莫 | 忘 |
알 지 | 지날 과 | 반드시 필 | 고칠 개 | 얻을 득 | 능할 능 | 말 막 | 잊을 망 |
知 | 過 | 必 | 改 | 得 | 能 | 莫 | 忘 |
허물 과 | |||||||
누구나 허물이 있는 것이니 허물을 알면 즉시 고쳐야 한다. 사람으로서 알아야 할 것을 배운 후에는 잊지 않도록 노력하여야 한다. |
23. 罔談彼短망담피단하고 靡恃己長미시기장하라.
177 | 178 | 179 | 180 | 181 | 182 | 183 | 184 |
罔 | 談 | 彼 | 短 | 靡 | 恃 | 己 | 長 |
없을 망 | 말씀 담 | 저 피 | 짧을 단 | 아닐 미 | 믿을 시 | 몸 기 | 길 장 |
罔 | 談 | 彼 | 短 | 靡 | 恃 | 己 | 長 |
쏠릴 미 | |||||||
자기의 단점을 말 안하는 동시에 남의 잘못을 욕하지 말라. 자신의 특기를 믿고 자랑하지 말라. 그럼으로써 더욱 발달한다. |
24. 信使可覆신사가복하고 器欲難量기욕난량하라.
185 | 186 | 187 | 188 | 189 | 190 | 191 | 192 |
信 | 使 | 可 | 覆 | 器 | 欲 | 難 | 量 |
믿을 신 | 하여금 사 | 옳을 가 | 덮을 복 | 그릇 기 | 하고자할 욕 | 어려울 난 | 헤아릴 량 |
信 | 使 | 可 | 覆 | 器 | 欲 | 難 | 量 |
약속할 신 | 실천할 복 | ||||||
믿음은 움직일 수 없는 진리이고 또한 남과의 약속은 지켜야 한다. 사람의 기량은 깊고 깊어서 헤아리기 어렵다. |
25. 墨悲絲染묵비사염이요 詩讚羔羊시찬고양이라.
193 | 194 | 195 | 196 | 197 | 198 | 199 | 200 |
墨 | 悲 | 絲 | 染 | 詩 | 讚 | 羔 | 羊 |
먹 묵 | 슬플 비 | 실 사 | 물들일 염 | 글 시 | 기릴 찬 | 염소 고 | 양 양 |
墨 | 悲 | 絲 | 染 | 詩 | 讚 | 羔 | 羊 |
묵자는 실이 물드는 것을 슬퍼했고, 『시경(詩經)』에서는 ‘고양(羔羊)’편을 찬미하였다. |
천자문 1 심초편(沁抄篇) 새겨 쓰기 하루 40자(241-280) (2) | 2024.09.19 |
---|---|
천자문 1 심초편(沁抄篇) 새겨 쓰기 하루 40자(201-240) (2) | 2024.09.19 |
천자문 1 심초편(沁抄篇) 새겨 쓰기 하루 40자(121-160) (0) | 2024.09.19 |
천자문 1 심초편(沁抄篇) 새겨 쓰기 하루 40자(81-120) (2) | 2024.09.19 |
천자문 1 심초편(沁抄篇) 새겨 쓰기 하루 40자(41-80) (1) | 2024.09.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