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레바퀴통이 부딪치고 어깨가 스친다는 뜻으로 번화가를 이르는 말.
轂 : 바퀴통 곡
擊 : 칠 격
肩 : 어깨 견
摩 : 갈 마
수레바퀴통이 서로 부딪치고 사람의 어깨가 스칠 정도로 수레와 사람들의 왕래가 많은 거리의 번화한 모습을 말한다. 견마곡격(肩摩轂擊), 거곡격 인견마(車轂擊 人肩摩) 또는 인마낙역(人馬絡繹)이라고도 한다.
중국 전한(前漢) 말의 학자 유향(劉向:BC 79?∼BC 8?)이 편찬한 《전국책(戰國策)》 〈제책(齊策)〉에서 유래한 성어(成語)이다.
전국시대(戰國時代) 각 나라의 군주는 권력을 강화해 나갔으며 경제력을 넉넉하게 하고, 군사력을 튼튼히 하여 도시가 크게 번창하였다. 전국시대(戰國時代) 제(齊)나라의 도읍이었던 임치(臨淄)는 수십만 명의 인구로 가장 번영하였는데, 임치(臨淄)의 번화한 거리를 표현한 데서 나온 말이다. 곡격견마(轂擊肩摩)는 수레바퀴가 맞부딪치고 오고가는 행인들의 어깨가 서로 닿을 만큼 복잡하게 인파(人波)가 붐비는 시가(市街)를 말한다.
680. 안연무양(安然無恙) (0) | 2024.11.06 |
---|---|
678. 암전상인(暗箭傷人) (0) | 2024.11.06 |
677. 조도상금(操刀傷錦) (0) | 2024.11.06 |
676. 마수시첨(馬首是瞻) (2) | 2024.11.06 |
진현서당지 제675호 망자재배(芒刺在背) (5) | 2024.10.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