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제46회 기발한 계책으로 공명은 화살을 얻고, 몰래 계책을 바친 황개는 벌을 받다.

본문

 

第四十六回

用奇謀孔明借箭 獻密計黃蓋受刑

 

46

기발한 계책으로 공명은 화살을 얻고, 몰래 계책을 바친 황개는 벌을 받다.

 

卻說魯肅領了周瑜言語徑來舟中相探孔明孔明接入小舟對坐肅曰連日措辦軍務有失聽教孔明曰便是亮亦未與都督賀喜肅曰何喜孔明曰公瑾使先生來探亮知也不知便是這件事可賀喜耳諕得魯肅失色問曰先生何由知之孔明曰這條計只好弄蔣幹曹操雖被一時瞞過必然便省悟只是不肯認錯耳今蔡張兩人既死江東無患矣如何不賀喜吾聞曹操換毛玠於禁爲水軍都督則這兩個手裏好歹送了水軍性命

 

각설, 노숙은 주유의 말에 따라 곧장 배 안으로 가 공명을 살폈다. 공명이 그를 작은 배 안으로 맞아들여 마주 앉았다. 노숙이 말하기를,

 

날마다 군무를 처리하느라 가르침을 듣는 데 소홀했소.”

 

하니, 공명이 말하기를,

 

저도 역시 도독께 아직 축하를 드리지 못했오.”

 

했다. 노숙이 말하기를,

 

무슨 축하요?”

 

하니, 공명이 말하기를,

 

공근(주유)이 선생을 시켜 제가 아는지 모르는지 알아보라 한 그 일이 가히 축하할 일이지요.”

 

했다. 깜짝 놀란 노숙이 낯빛이 달라져서 묻기를,

 

선생께서 어찌 그것을 아시오?”

 

하니, 공명이 말하기를,

 

그 계책은 장간을 농락한 것뿐이오. 조조가 잠시 속아 넘어가서 틀림없이 곧 깨닫겠지만 자기 잘못만은 인정하기 싫겠지요. 이제 채모와 장윤 두 사람이 이미 죽어 강동에 아무 걱정이 없게 됐으니, 어떻게 축하하지 않겠소? 내 듣자니 조조가 모개와 우금을 수군 도독으로 바꿨다는데, 저들 두 사람 손에 아무튼 수군들 목숨이 날아가게 됐소.”

 

했다.

 

魯肅聽了開口不得把些言語支吾了半晌別孔明而回孔明囑曰望子敬在公瑾面前勿言亮先知此事恐公瑾心懷妒忌又要尋事害亮魯肅應諾而去回見周瑜把上項事只得實說了瑜大驚曰此人決不可留吾決意斬之肅勸曰若殺孔明卻被曹操笑也瑜曰吾自有公道斬之教他死而無怨肅曰何以公道斬之瑜曰子敬休問來日便見

 

노숙이 듣더니 할 말을 잃고 잠시 얼버무려 응대하다가 공명과 작별하여 돌아가려 하자 공명이 부탁하기를,

 

바라건대 자경(노숙)은 공근의 면전에서 절대로 이 일을 제가 먼저 알고 있더라고 말하지 마시오. 공근이 마음속으로 시기해 또다시 나를 해칠까 걱정이오.”

 

하니, 노숙이 응낙하고 떠났다. 돌아가 주유를 만나 앞서 일어난 일을 어쩔 수 없이 사실대로 말했다. 주유가 크게 놀라 말하기를,

 

그는 결코 살려둬서는 안 되겠소! 내 결단코 그를 참하겠소!”

 

했다. 노숙이 말이기를,

 

공명을 죽이면 도리어 조조의 비웃음을 살 것이오.”

 

하니, 주유가 말하기를,

 

내게 그를 참해 버릴 떳떳한 방법이 있소. 그는 죽어도 원망하지 못할 것이오.”

 

했다. 노숙이 말하기를,

 

무슨 떳떳한 방법으로 그를 참하겠소?”

 

하니, 주유가 말하기를,

 

자경(노숙)은 더 묻지 마시오. 바로 내일 보게 될 것이오.”

 

했다.

 

次日聚衆將於帳下教請孔明議事孔明欣然而至坐定瑜問孔明曰即日將與曹軍交戰水路交兵當以何兵器爲先孔明曰大江之上以弓箭爲先瑜曰先生之言甚合愚意但今軍中正缺箭用敢煩先生監造十萬枝箭以爲應敵之具此系公事先生幸勿推卻孔明曰都督見委自當效勞敢問十萬枝箭何時要用瑜曰十日之內可完辦否孔明曰操軍即日將至若候十日必誤大事瑜曰先生料幾日可完辦孔明曰只消三日便可拜納十萬枝箭瑜曰軍中無戲言孔明曰怎敢戲都督願納軍令狀三日不辦甘當重罰

 

다음날, 장수들을 막사로 불러 모으고, 공명에게 일을 의논하자고 청했다. 공명이 흔쾌히 이르러 좌정한 뒤에 주유가 공명에게 묻기를,

 

곧 조조 군대와 교전하여 물길에서 싸우면 마땅히 어떤 병기를 우선하겠소?”

 

하니, 공명이 말하기를,

 

장강 위에서는 활과 화살이 우선이오.”

 

했다. 주유가 말하기를,

 

선생 말씀이 내 뜻과 매우 합치하오. 다만 지금 군중에 마침 쓸 화살이 모자라니 번거롭지만 선생께서 화살 10만 개를 만드는 것을 감독해서 적군에 맞설 도구로 삼아 주시오. 이것은 공사이니 선생께서 행여나 사양하지 마시오.”

 

하니, 공명이 말하기를,

 

도독께서 맡기시니 마땅히 힘을 다하겠소. 화살 10만 개는 언제까지 필요한지 물어도 되겠소?”

 

했다. 주유가 말하기를,

 

열흘 안에 끝낼 수 있지 않겠소?”

 

하니, 공명이 말하기를,

 

조조 군대가 곧 들이닥치면 열흘을 기다리다 틀림없이 대사를 그르칠 것이오.”

 

했다. 주유가 말하기를,

 

선생께서 헤아려 며칠이면 끝내겠소?”

 

하니, 공명이 말하기를,

 

다만 사흘이면 화살 10만 개를 바칠 수 있소.”

 

했다. 주유가 말하기를,

 

군중에는 희롱하는 말이 없소.”

 

하니, 공명이 말하기를,

 

어찌 도독을 희롱하겠소! 바라건대 사흘 안에 마련하지 못하면 중한 벌도 달게 받겠다는 군령장을 바치겠소.”

 

했다.

 

瑜大喜喚軍政司當面取了文書置酒相待曰待軍事畢後自有酬勞孔明曰今日已不及來日造起至第三日可差五百小軍到江邊搬箭飲了數杯辭去魯肅曰此人莫非詐乎瑜曰他自送死非我逼他今明白對衆要了文書他便兩脅生翅也飛不去我只分付軍匠人等教他故意遲延凡應用物件都不與齊備如此必然誤了日期那時定罪有何理說公今可去探他虛實卻來回報

 

주유가 크게 기뻐하여 군의 행정병을 불러 그 자리에서 문서를 쓰게 하고, 술을 내어 공명에게 대접해 말하기를,

 

(화살을 마련하는) 군사 업무가 끝나면 내가 직접 수고에 보답해 드리겠소.”

 

하니, 공명이 말하기를,

 

오늘은 이미 늦었으니 내일 시작하겠소. 3일에 이르러 군졸 5백을 데리고 강가로 화살을 운반하겠소.”

 

했다. 술을 몇 잔 마시고 작별해 떠났다. 노숙이 말하기를,

 

저 사람이 속이는 것은 아니겠지요?”

 

하니, 주유가 말하기를,

 

그가 스스로 죽으러 떠난 것이지 내가 핍박한 것이 아니오. 오늘 명백히 사람들 앞에서 문서를 썼으니 양 옆구리에서 날개가 돋아서 날아가지는 못할 것이오. 나는 군중 장인들에게 분부해서 그들에게 고의로 늦추도록 지시하고, 무릇 필요한 물건들을 모두 제대로 준비하지 못하게 하겠소. 이렇다면 반드시 기일을 어길테니 그때 죄를 물으면 어찌 변명하겠소? 공은 지금 가서 그의 허실을 탐지해 돌아와 보고하시오.”

 

했다.

 

肅領命來見孔明孔明曰吾曾告子敬休對公瑾說他必要害我不想子敬不肯爲我隱諱今日果然又弄出事來三日內如何造得十萬箭子敬只得救我肅曰公自取其禍我如何救得你孔明曰望子敬借我二十只船每船要軍士三十人船上皆用青布爲幔各束草千餘個分布兩邊吾別有妙用第三日包管有十萬枝箭只不可又教公瑾得知若彼知之吾計敗矣

 

노숙이 명을 받들어 와서 공명을 만나니 공명이 말하기를,

 

내 일찍이 자경더러 그가 틀림없이 나를 해치려 한다고 공근에게 말씀드리지 말라고 했소. 뜻밖에 자경이 나를 위해 숨기지 않아서 오늘 과연 이런 일이 생겼소. 사흘 안에 무슨 수로 화살 10만 개를 만들겠소? 자경! 제발 나를 구해 주시오!”

 

하니, 노숙이 말하기를,

 

공이 스스로 화를 불렀는데 내가 어찌 구해줄 수 있겠소?”

 

했다. 공명이 말하기를,

 

바라건대 자경께서 제게 배 20척을 빌려주고 배마다 군사 30인을 배치해 배 위에 청포로 천막을 둘러 각각 풀 다발 1천여 개를 양쪽에 깔아 주시오. 제게 신묘하게 쓸 데가 있소. 3일에 화살 10만 개 마련하는 것을 보증하겠으나 다만 다시는 공근이 알게 해서는 안 되오. 만약 그가 알면 내 계책은 실패할 것이오.”

 

했다.

 

肅允諾卻不解其意回報周瑜果然不提起借船之事只言孔明並不用箭竹翎毛膠漆等物自有道理瑜大疑曰且看他三日後如何我卻說魯肅私自撥輕快船二十只各船三十餘人並布幔束草等物盡皆齊備候孔明調用第一日卻不見孔明動靜第二日亦只不動至第三日四更時分孔明密請魯肅到船中肅問曰公召我來何意孔明曰特請子敬同往取箭肅曰何處去取孔明曰子敬休問前去便見

 

노숙이 응낙하나 그 뜻을 알지 못했다. 주유에게 돌아가 보고했지만, 과연 배를 빌려주는 일은 말하지 않았고, 다만 공명이 화살대, 깃털, 아교, 옻칠 등을 쓰지 않고도 나름대로 방법이 있다 하더라고 말했다. 주유가 크게 의심해 말하기를,

 

그가 사흘 뒤에 내게 어떻게 답하나 지켜봅시다!”

 

했다. 한편, 노숙은 몸소 경쾌한 배 20척을 뽑아 배마다 30여 인을 태우고 아울러 베 장막, 풀 다발 등을 모두 갖춰서 공명이 쓰기를 기다렸다. 첫째 날은 공명의 동정을 볼 수 없었고, 둘째 날도 역시 움직이지 않았다. 셋째 날 4(새벽 2)에 공명이 남몰래 노숙을 배 안으로 불렀다. 노숙이 묻기를,

 

공이 저를 부른 것은 무슨 까닭이오?”

 

하니, 공명이 말하기를,

 

특별히 자경을 청해 함께 가서 화살을 취하려 하오.”

 

했다. 노숙이 말하기를,

 

어디 가서 취한다는 거요?”

 

하니, 공명이 말하기를,

 

자경은 묻지 마시오. 가보면 알 것이오.”

 

했다.

 

遂命將二十只船用長索相連徑望北岸進發是夜大霧漫天長江之中霧氣更甚對面不相見孔明促舟前進果然是好大霧

 

곧 명을 내려 배 스무 척을 긴 동아줄로 서로 이어 곧장 북쪽 강기슭을 향해 출발했다. 이날 밤은 짙은 안개가 하늘에 가득한데 장강에는 더욱 심해서 서로 얼굴도 안 보일 지경이었다. 공명이 재촉하여 배들이 전진하였는데 과연 대단한 안개였다!

 

前人有篇大霧垂江賦

 

大哉長江西接岷南控三吳北帶九河彙百川而入海曆萬古以揚波至若龍伯海若江妃水母長鯨千丈天蜈九首鬼怪異類鹹集而有蓋夫鬼神之所憑依英雄之所戰守也時也陰陽既亂昧爽不分訝長空之一色忽大霧之四屯雖輿薪而莫睹惟金鼓之可聞初若溟濛才隱南山之豹漸而充塞欲迷北海之鯤然後上接高天下垂厚地渺乎蒼茫浩乎無際鯨鯢出水而騰波蛟龍潛淵而吐氣

 

옛사람이 <대무수강부(짙은 안개가 강에 드리운 것을 읊은 부)>가 있는데, 이르기를,

 

크구나 장강이여! 서쪽은 민산과 아미산에 닿고, 남쪽은 삼오(오군, 오흥, 회계)를 두드리고 북쪽은 구하(아홉 개의 강)를 두르네. 온갖 물줄기를 모아 바다로 들어가며 만고(오랜 세월)를 흘러 넘실대네. 용백(거인)과 해약(바다의 신), 수모(바다의 신), 천 길 큰 고래, 머리 아홉 달린 지네, 온갖 귀신과 괴물, 이상한 무리 모두 모이네. 뭇 귀신들이 의지하고 영웅들이 싸워 지키는 곳이구나. 때때로 음양이 어지러워져 떠오른 해마저 흐릿하게 뚜렷하지 못하네. 하늘이 온통 한 가지 색인가 싶고, 문득 짙은 안개가 사방에 가득하네. 한 수레 장작도 알아보지 못하고, 오로지 쇠북 소리만 들릴 뿐이네. 처음에는 흐릿해 겨우 남쪽 산 표범을 숨기더니, 점점 가득 차서 북쪽 바다 곤어(엄청나게 큰 물고기)도 못 찾겠네. 이리하여 위는 높은 하늘에 닿고 아래는 두터운 땅에 드리우네. 아득히 창망하여, 넓고 넓어 끝이 없구나. 암수 고래는 물을 나와 파도를 타고, 교룡은 못에 잠겨 기운을 토하네.

 

又如梅霖收溽春陰釀寒溟溟濛濛浩浩漫漫東失柴桑之岸南無夏口之山楫船千艘俱沉淪於岩壑漁舟一葉驚出沒於波瀾甚則穹昊無光朝陽失色返白晝爲昏黃變丹山爲水碧雖大禹之智不能測其淺深離婁之明焉能辨乎咫尺於是馮夷息浪屏翳收功魚鱉遁跡鳥獸潛蹤隔斷蓬萊之島暗圍閶闔之宮恍惚奔騰如驟雨之將至紛紜雜遝若寒雲之欲同乃能中隱毒蛇因之而爲瘴癘內藏妖魅憑之而爲禍害降疾厄於人間起風塵於塞外小民遇之失傷大人觀之感慨蓋將返元氣於洪荒混天地爲大塊

 

다시 장마처럼 젖어 들어, 봄날은 음산하고 점점 추워지며, 부슬부슬 가랑비 내려 자욱하니 넓고 넓어 끝이 없구나. 동쪽은 시상의 강둑이 사라지고, 남쪽은 하구의 산이 없어지네. 배 천 척을 모조리 바위 골짜기에 가라앉혀, 고기잡이배 한 조각 물결 속에서 놀라 출몰하네.

 

심지어 하늘은 빛이 없고 아침 해는 빛을 잃어, 한낮은 황혼이 되고, 붉은 산은 자수정이 되는구나. 비록 우임금의 지혜로도 그 얕고 깊음을 재지 못하고, 이루(전설상의 눈 밝은 인물)의 밝은 눈으로도 어찌 지척을 가려내리? 이에 풍이(물의 신)가 물결을 잠재우고 병예(천둥 번개의 신)가 공을 이뤄, 물고기와 자라가 숨어들고 새와 짐승들 자취를 감추네. 봉래섬을 갈라놓고, 창합(하늘문)의 궁궐들을 몰래 둘러싸는구나. 황홀히 솟구쳐 오르니 소나기가 내릴 듯하고, 분분히 어지러우니 차가운 구름과 같아질 듯하구나. 능히 독사를 속으로 숨겨서 열병을 일으키게 하고, 요망한 괴물을 품어 그 때문에 재앙을 입으니, 질병과 액운을 인간에게 내리고 먼지바람을 변방에 일으키네. 소인이 마주치면 잃고 꺾이며, 대인이 살피면 감개를 느끼네. 기운을 혼돈에 돌려주고, 하늘과 땅을 섞어 한 덩어리로 만드는구나.”

 

하였다.

 

當夜五更時候船已近曹操水寨孔明教把船只頭西尾東一帶擺開就船上擂鼓呐喊魯肅驚曰倘曹兵齊出如之奈何孔明笑曰吾料曹操於重霧中必不敢出吾等只顧酌酒取樂待霧散便回卻說曹寨中聽得擂鼓呐喊毛玠於禁二人慌忙飛報曹操操傳令曰重霧迷江彼軍忽至必有埋伏切不可輕動可撥水軍弓弩手亂箭射之又差人往旱寨內喚張遼徐晃各帶弓弩軍三千火速到江邊助射比及號令到來毛玠於禁怕南軍搶入水寨已差弓弩手在寨前放箭

 

그날 밤 5(새벽 4) 무렵, 배가 이미 조조의 수군 진지에 접근했다. 공명이 지시하여 배의 이물은 서쪽으로, 고물은 동쪽으로 두어 한 줄로 늘어서서, 배 위에서 북을 두드리고 함성을 질렀다. 노숙이 놀라 말하기를,

 

만약 조조의 병력이 몰려나오면 어찌 하시겠소?”

 

하니, 공명이 웃으며 말하기를,

 

내가 생각하기로는, 조조는 안개가 짙어서 틀림없이 감히 출격치 못할 것이오. 우리는 단지 술잔을 채워 즐기다가 안개가 흩어지거든 곧 돌아갑시다.”

 

했다. 한편 조조의 진영에서는 북소리와 함성을 들은 모개와 우금 두 사람이 황망히 조조에게 급보했다. 조조가 명령하기를,

 

안개가 짙어 강이 흐린데 적군이 갑자기 왔으니 필시 매복이 있을 것이다, 절대 가벼이 움직여선 안 되오. 수군의 궁노수들을 동원해 화살을 어지럽게 쏘시오.”

 

했다. 또한 사람을 육지의 진지로 보내어 장요와 서황을 불러 각각 궁노수 3천을 데리고 불같이 강변으로 가 도와서 사격하게 했다. 호령이 떨어지자 모개와 우금이 남군이 수군 진지를 습격할까 두려워서 궁노수들을 수채 앞으로 보내 화살을 쏘게 했다.

 

少頃旱寨內弓弩手亦到約一萬餘人盡皆向江中放箭箭如雨發孔明教把船吊回頭東尾西逼近水寨受箭一面擂鼓呐喊待至日高霧散孔明令收船急回二十只船兩邊束草上排滿箭枝孔明令各船上軍士齊聲叫曰謝丞相箭比及曹軍寨內報知曹操時這裏船輕水急已放回二十餘裏追之不及曹操懊悔不已

 

얼마 뒤 육상 진지에서도 궁노수들이 도착해서 약 1만여 인이 모조리 강 안으로 활을 쏘니 화살이 비 오듯 쏟아졌다. 공명이 배를 돌리게 지시해서 배 이물은 동쪽으로, 고물은 서쪽으로 향해 수군 진지에 바짝 붙어 화살을 받으며, 한편으로 북을 두드리며 함성을 질렀다. 해가 높이 떠 안개가 흩어지기를 기다렸다가 공명이 명령해 배를 거두어 급히 돌아갔다. 20척 배 양쪽 풀더미 위에 화살들이 빽빽이 꽂혔다. 공명이 명령해 배마다 군사들이 일제히 외치기를,

 

승상! 화살을 줘서 고맙습니다!”

 

했다. 조조의 군사들이 진지 안의 조조에게 알려 주었을 때 배는 가볍고 물살은 급해 이미 20여 리를 달아나서 추격하지 못하니 조조가 후회해 마지않았다.

 

卻說孔明回船謂魯肅曰每船上箭約五六千矣不費江東半分之力已得十萬餘箭明日即將來射曹軍卻不甚便肅曰先生真神人也何以知今日如此大霧孔明曰爲將而不通天文不識地利不知奇門不曉陰陽不看陣圖不明兵勢是庸才也亮於三日前已算定今日有大霧因此敢任三日之限公瑾教我十日完辦工匠料物都不應手將這一件風流罪過明白要殺我我命系於天公瑾焉能害我哉

 

한편, 공명은 배들을 돌리고 노숙에게 말하기를,

 

배마다 화살이 5,6천은 될 것이오. 강동의 힘을 반도 들이지 않고 10만여 발을 이미 얻었소. 내일이라도 조조 군대에 쏘아대면 심히 좋지 않겠소?”

 

하니, 노숙이 말하기를,

 

선생은 참으로 신같은 사람이오! 어찌 오늘 안개가 이렇게 짙게 낄 줄을 아셨소?”

 

했다. 공명이 말하기를,

 

장수가 되어 천문에 통달치 못하고 지리를 모르고 기문(둔갑술)을 모르고 음양에 밝지 못하고 진법을 살피지 못하고 군사 정세를 알지 못하면 이는 평범한 사람이오. 제가 사흘 전에 이미 오늘 큰 안개가 있을 것을 알고 그로 인해 감히 사흘 기한으로 임무를 맡았소. 공근이 내게 열흘 안에 끝내라며 물건을 만드는 장인들과 필요한 물건들을 모두 제대로 주지 않고, 사소한 과실로써 명백히 나를 죽이려 했소. 내 운명이 하늘에 달렸거늘 공근이 어찌 능히 나를 해치겠오!”

 

했다.

 

魯肅拜服船到岸時周瑜已差五百軍在江邊等候搬箭孔明教於船上取之可得十餘萬枝都搬入中軍帳交納魯肅入見周瑜備說孔明取箭之事瑜大驚慨然歎曰孔明神機妙算吾不如也

 

노숙이 탄복했다. 배가 강둑에 닿자 주유가 이미 군사 5백 명을 강변으로 보내 화살을 옮기려고 기다리고 있었다. 공명이 지시해 배 위에서 모으니 가히 10여만 발을 얻었다. 모두 중군 장막으로 가져가 교부해 넣었다. 노숙이 들어가 주유를 만나 공명이 화살을 얻은 일을 낱낱이 이야기했다. 주유가 크게 놀라 개연히 탄식하여 말하기를,

 

공명의 신묘한 지략과 기묘한 계책은 내가 따르지 못하겠소!”

 

했다.

 

後人有詩贊曰

 

一天濃霧滿長江,

遠近難分水渺茫

驟雨飛蝗來戰艦,

孔明今日伏周郎

 

뒷 사람이 시를 지어 찬양하기를,

 

어느 날 짙은 안개 장강에 가득하여,

원근을 못 가리고 물길은 아득한데,

메뚜기 떼처럼 화살이 전함에 빗발치니,

공명은 오늘에 주랑을 탄복시키네.”

 

했다.

 

少頃孔明入寨見周瑜瑜下帳迎之稱羨曰先生神算使人敬服孔明曰詭譎小計何足爲奇瑜邀孔明入帳共飲瑜曰昨吾主遣使來催督進軍瑜未有奇計願先生教我孔明曰亮乃碌碌庸才安有妙計瑜曰某昨觀曹操水寨極是嚴整有法非等閑可攻思得一計不知可否先生幸爲我一決之孔明曰都督且休言各自寫於手內看同也不同

 

잠시 뒤 공명이 영채로 들어가 주유를 만났다. 주유가 장막에서 내려와 맞이하고 칭송해 말하기를,

 

선생의 신묘한 계산은 사람들을 탄복하게 하는구려.”

 

하니, 공명이 말하기를,

 

괴이한 작은 계책인데 어찌 족히 뛰어나다 하겠소?”

 

했다. 주유가 공명을 막사로 불러들여 함께 술을 마셨다. 주유가 말하기를,

 

어제 주공께서 보낸 사자가 진군을 독촉하는데 제게 아직 기묘한 계책이 없어 바라건대 선생께서 나를 가르쳐 주시오.”

 

하니, 공명이 말하기를,

 

저는 녹록하고 평범한 사람인데 어찌 기묘한 계책이 있겠소?”

 

했다. 주유가 말하기를,

 

내가 지난 번에 조조의 수군 진영을 살피니 극히 엄정히 법도가 있어 함부로 공격할 게 아니었소. 한가지 계책이 떠오르는데 그 옳고 그름을 모르겠으니 선생께서 아무쪼록 나를 위해 결정해 주시오.”

 

하니, 공명이 말하기를,

 

도독께서 말씀하지 마시오. 각자 손바닥에 써서 같은가 다른가 봅시다.”

 

했다.

 

瑜大喜教取筆硯來先自暗寫了卻送與孔明孔明亦暗寫了兩個移近坐榻各出掌中之字互相觀看皆大笑原來周瑜掌中字乃一孔明掌中亦一瑜曰既我兩人所見相同更無疑矣幸勿漏泄孔明曰兩家公事豈有漏泄之理吾料曹操雖兩番經我這條計然必不爲備今都督盡行之可也飲罷分散諸將皆不知其事

 

주유가 크게 기뻐하여 붓과 벼루를 가져오게 해서 먼저 몰래 쓰고 다시 공명에게 (붓과 벼루를) 주었다. 공명도 몰래 쓰고 둘이 가까이 다가가서 평상에 앉아 각각 손바닥에 쓴 글자를 서로 보고 모두 크게 웃었다. 원래 주유가 손바닥에 쓴 글자는 바로()’한 글자요, 공명이 손바닥에 쓴 글자도 역시()’한 글자였다. 주유가 말하기를,

 

이렇게 우리 두 사람의 의견이 서로 같으니 다시 의심할 것이 없소. 행여나 누설하지 마시오.”

 

하니, 공명이 말하기를,

 

양가의 공적인 일이거늘 어찌 누설할 리가 있겠소? 제 생각에 조조가 비록 두 번이나 우리의 이런 계략에 빠졌지만, 틀림없이 대비가 안 됐을 것이오. 이제 도독께서 모두 실행하면 되겠소.”

 

했다. 술 마시기를 마치고 헤어졌으나 장수들은 그 일을 알지 못했다.

 

卻說曹操平白折了十五六萬箭心中氣悶荀攸進計曰江東有周瑜諸葛亮二人用計急切難破可差人去東吳詐降爲奸細內應以通消息方可圖也操曰此言正合吾意汝料軍中誰可行此計攸曰蔡瑁被誅蔡氏宗族皆在軍中瑁之族弟蔡中蔡和現爲副將丞相可以恩結之差往詐降東吳必不見疑

 

한편, 조조는 헛되이 화살 15, 6만 발을 잃어 마음이 울적했다. 순유가 계책을 올려 말하기를,

 

강동에 주유와 제갈랑, 두 사람이 있어 계책을 쓰니 절대로 급히 깨기 어렵습니다. 사람을 동오로 보내어 거짓으로 항복시켜 간첩으로 삼아 내응하여 소식을 전하게 하면 비로소 도모할 수 있습니다.”

 

하니, 조조가 말하기를,

 

이 말은 바로 내 뜻과 맞소. 그대 생각에 군중에서 누가 이 계책을 수행할 수 있겠소?”

 

했다. 순유가 말하기를,

 

채모가 처형당했으나 채씨 종족이 모두 군중에 있는데, 채모의 집안 아우인 채중과 채화가 지금 부장으로 있습니다. 승상께서 은혜로 그들을 묶어서 동오로 보내어 거짓으로 항복시키면 틀림없이 동오에서 의심하지 않을 것입니다.”

 

했다.

 

操從之當夜密喚二人入帳囑付曰汝二人可引些少軍士去東吳詐降但有動靜使人密報事成之後重加封賞休懷二心二人曰吾等妻子俱在荊州安敢懷二心丞相勿疑某二人必取周瑜諸葛亮之首獻於麾下操厚賞之次日二人帶五百軍士駕船數只順風望著南岸來

 

조조가 그 꾀에 따라 그날 밤 몰래 두 사람을 불러들여 부탁하기를,

 

그대 두 사람은 군사를 조금 거느리고 동오로 가서 거짓으로 항복하여 그들의 동정이 있으면 사람을 시켜 몰래 보고하시오. 성사된 뒤에 크게 벼슬과 상을 내리겠소. 딴 마음을 품지 마시오!”

 

했다. 두 사람이 말하기를,

 

저희 처자가 모두 형주에 있는데 어찌 감히 다른 마음을 품겠습니까! 승상께서 의심치 마십시오. 저희 두 사람은 반드시 주유와 제갈량의 목을 취해 휘하에 바칠 것입니다.”

 

했다. 조조가 후하게 상을 내렸다. 다음날 두 사람이 군사 5백 명을 거느리고 몇 척의 배에 올라 순풍을 타고 남쪽 강기슭을 향해 갔다.

 

且說周瑜正理會進兵之事忽報江北有船來到江口稱是蔡瑁之弟蔡和蔡中特來投降瑜喚入二人哭拜曰吾兄無罪被操賊所殺吾二人欲報兄仇特來投降望賜收錄願爲前部瑜大喜重賞二人即命與甘寧引軍爲前部二人拜謝以爲中計瑜密喚甘寧分付曰此二人不帶家小非真投降乃曹操使來爲奸細者吾今欲將計就計教他通報消息汝可殷勤相待就裏提防至出兵之日先要殺他兩個祭旗汝切須小心不可有誤甘寧領命而去

 

한편, 주유는 진군할 일을 처리하고 있는데 문득 강북에서 배가 와서 강 어귀에 다다랐다고 보고했다. 그들은 채모의 아우 채화와 채중이라 일컫는데 일부러 투항하러 왔다는 것이다. 주유가 불러들이자 두 사람이 곡하며 절을 올리고 말하기를,

 

저희 형은 죄가 없는데 조조 도적이 죽였습니다. 저희 두 사람이 형의 원수를 갚고자 특별히 투항하러 왔습니다. 바라건대, 거둬 주시면 선봉에 서겠습니다.”

 

했다. 주유가 크게 기뻐하여 두 사람을 크게 포상하고, 즉시 명령해 감녕과 함께 군사를 이끌고 선봉을 맡게 했다. 두 사람이 절을 올려 감사드리고 계략이 성공했다고 생각했다. 주유가 몰래 감녕을 불러 분부하기를,

 

이 두 사람은 식구를 데려오지 않았으니 진실로 투항한 것이 아니라 조조가 시켜서 간첩으로 온 것이오. 내가 이제 장계취계(상대방의 계략을 역이용)하여 그들로 하여금 소식을 전하게 하겠소. 그대는 은근히 그들을 대우하되 속으로 방비하시오. 출병하는 날에 그들을 먼저 죽여 제사에 쓰는 승전기에 바치겠소. 그대는 절대 조심해서 그르치지 마시오.”

 

했다. 감녕이 명령을 받들어 떠났다.

 

魯肅入見周瑜曰蔡中蔡和之降多應是詐不可收用瑜叱曰彼因曹操殺其兄欲報仇而來降何詐之有你若如此多疑安能容天下之士乎肅默然而退乃往告孔明孔明笑而不言肅曰孔明何故哂笑孔明曰吾笑子敬不識公瑾用計耳大江隔遠細作極難往來操使蔡中蔡和詐降刺探我軍中事公瑾將計就計正要他通報消息兵不厭詐公瑾之謀是也肅方才省悟

 

노숙이 들어와 주유를 만나 말하기를,

 

채중과 채화의 항복은 아무래도 속임수이니 수용해서는 안 되오.”

 

하니, 주유가 질책하기를,

 

그들은 조조가 그 형을 죽여 복수하러 항복한 것인데 어찌 속이겠소? 그대가 이토록 의심이 많아서야 어찌 천하 선비들을 받아들이겠소?”

 

했다. 노숙이 말없이 물러나서 공명을 찾아가 고하니 공명이 웃고 말하지 않았다. 노숙이 말하기를,

 

공명은 무슨 까닭으로 비웃소?”

 

하니, 공명이 말하기를,

 

자경(노숙)이 공근(주유)의 계책을 알지 못해서 웃은 것뿐이오. 장강은 멀리 떨어져서 간첩이 왕래하기 극히 어렵소. 조조가 채중과 채화에게 거짓 항복을 시켜 우리의 군중 사정을 엿보려 한 것인데, 공근이 장계취계(적의 계책을 역이용)하여 바로 그들로 하여금 소식을 통보하게 한 것이오. 군사작전에서 속임수를 부끄러워 하지 않는데, 공근의 꾀가 바로 그것이오.”

 

했다. 노숙이 그제서야 깨달았다.

 

卻說周瑜夜坐帳中忽見黃蓋潛入中軍來見周瑜瑜問曰公覆夜至必有良謀見教蓋曰彼衆我寡不宜久持何不用火攻之瑜曰誰教公獻此計蓋曰某出自己意非他人之所教也瑜曰吾正欲如此故留蔡中蔡和詐降之人以通消息但恨無一人爲我行詐降計耳蓋曰某願行此計瑜曰不受些苦彼如何肯信蓋曰某受孫氏厚恩雖肝腦塗地亦無怨悔瑜拜而謝之曰君若肯行此苦肉計則江東之萬幸也蓋曰某死亦無怨遂謝而出

 

한편, 주유가 밤에 장막 안에 앉아 있는데, 문득 황개가 군중에 몰래 들어와서 주유를 찾아와 만났다. 주유가 묻기를,

 

공복(황개의 자)께서 밤에 오시다니 틀림없이 좋은 계책을 가르쳐 주시겠구려.”

 

하니, 황개가 말하기를,

 

적들은 많고 우리는 적으니 오래 끌어서는 안 되거늘 어찌하여 불로써 공격지 않으시오?”

 

했다. 주유가 말하기를,

 

누가 공께 이 계책을 알려줬소?”

 

하니, 황개가 말하기를,

 

내가 스스로 낸 것이지 남이 알려 준 게 아니오.”

 

했다. 주유가 말하기를,

 

나도 마침 그렇게 하고 싶어서 거짓 항복한 채중과 채화를 머물러두어 소식을 통하게 한 것이오. 다만 한스러운 것은 아무도 나를 위해 거짓 항복의 계책을 행하지 않는 것이오.”

 

하니, 황개가 말하기를,

 

내가 그 계책을 행하고 싶소.”

 

했다. 주유가 말하기를,

 

상당한 고초를 겪지 않고서야 어찌 저들이 믿어 주겠소?”

 

하니, 황개가 말하기를,

 

내가 손씨의 두터운 은혜를 입어 비록 간과 뇌를 땅을 바르더라도 원망이나 후회가 없겠소.”

 

했다. 주유가 절을 올려 사례하며 말하기를,

 

그대가 기꺼이 고육계(苦肉計 몸을 괴롭혀서 적을 속이는 계책)를 행하시면 강동을 위해 만 번 다행이겠소.”

 

하니, 황개가 말하기를,

 

제가 죽더라도 원망치 않겠소.”

 

하고, 곧 사례하고 나갔다.

 

次日周瑜鳴鼓大會諸將於帳下孔明亦在座周瑜曰操引百萬之衆連絡三百餘裏非一日可破今令諸將各領三個月糧草准備禦敵言未訖黃蓋進曰莫說三個月便支三十個月糧草也不濟事若是這個月破的便破若是這個月破不的只可依張子布之言棄甲倒戈北面而降之耳周瑜勃然變色大怒曰吾奉主公之命督兵破曹敢有再言降者必斬今兩軍相敵之際汝敢出此言慢我軍心不斬汝首難以服衆喝左右將黃蓋斬訖報來黃蓋亦怒曰吾自隨破虜將軍縱橫東南已曆三世那有你來

 

다음날 주유가 북을 울려 장수들을 막사 안으로 불렀다. 공명도 역시 참석했다. 주유가 말하기를,

 

조조가 백만의 무리를 이끌고 3백여 리에 걸쳐 있어 하루아침에 격파할 수 없소. 이제 장수들에게 명을 내리겠으니, 각각 3개월치 양초(군량과 말먹이풀)를 가지고 적군을 막을 준비를 하시오.”

 

하니, 말을 마치기도 전에 황개가 나아가 말하기를,

 

“3개월은 말할 것도 없고 30개월치 양초를 가져도 일을 성공시키지 못하오! 만약 이달 안에 격파할 수 있으면 바로 격파하고, 이달 안에 격파하지 못할 것이면 장자포(장소)의 말씀대로 갑옷과 무기를 버리고 북면(신하의 예를 갖춤)하여 그들에게 항복해야 할 것이오!”

 

했다. 주유가 발끈해 낯빛이 변하며 크게 노해 말하기를,

 

내가 주공의 명을 받들어 병력을 감독해 조조를 격파하고 감히 다시 항복을 말하는 자는 반드시 참할 것이다. 지금 양쪽 군대가 서로 맞서 있는 때에 네가 감히 이런 말을 하여 우리 군심을 흩으리니 너를 참하지 않으면 사람들을 복종시키기 어렵겠구나!”

 

하고, 좌우에 소리를 질러 황개를 끌어내 참하고 보고하라고 했다. 황개도 역시 노해 말하기를,

 

내가 파로장군(손견)을 따라서 동남을 종횡하여 3대를 거쳤는데 너는 어디에 있었더냐?”

 

했다.

 

瑜大怒喝令速斬甘寧進前告曰公覆乃東吳舊臣望寬恕之瑜喝曰汝何敢多言亂吾法度先叱左右將甘寧亂棒打出衆官皆跪告曰黃蓋罪固當誅但於軍不利望都督寬恕權且記罪破曹之後斬亦未遲瑜怒未息衆官苦苦告求瑜曰若不看衆官面皮決須斬首今且免死命左右拖翻打一百脊杖以正其罪衆官又告免瑜推翻案桌叱退衆官喝教行杖將黃蓋剝了衣服拖翻在地打了五十脊杖衆官又複苦苦求免瑜躍起指蓋曰汝敢小覷我耶且寄下五十棍再有怠慢二罪俱罰恨聲不絕而入帳中

 

주유가 크게 노해 어서 참하라 소리 질렀다. 감녕이 앞으로 나가서 고하기를,

 

공복(황개)은 동오의 오랜 신하이니 바라건대 너그러이 용서해 주십시오.”

 

하니, 주유가 꾸짖기를,

 

네가 어찌 감히 여러 말로 내 법도를 어지럽히느냐!”

 

하고, 먼저 좌우에 호통을 쳐서 감녕을 끌어다가 곤장을 난타하라고 했다. 관리들이 모두 무릎을 꿇고 고하기를,

 

황개의 죄가 죽어 마땅하나 다만 군사에 이롭지 않습니다. 도독께서 너그러이 용서해서 잠시 그 죄를 기억해 두시고, 조조를 격파한 뒤에 참해도 늦지 않습니다.”

 

하니, 주유의 노기가 식지 않았는데 관리들이 간절히 계속 살려달라고 했다. 주유가 말하기를,

 

만약 여러 관리들의 체면을 보지 않았으면 결단코 목을 베었소! 오늘은 잠시 죽음을 면해 주겠소!”

 

하고, 좌우에 명령하기를,

 

그를 끌어내 엎어놓고 등짝 1백 대를 쳐서 그 죄를 바로잡으라.”

 

했다. 관리들이 다시 그것을 면해 주라고 하자 주유가 탁자를 엎어 버리며 관리들을 꾸짖어 물리고, 소리 질러 형벌을 가하게 했다. 황개의 옷을 벗겨 땅에 엎고 등짝 5십 대를 때리자 관리들이 또다시 간절히 살려주라고 했다. 주유가 벌떡 일어나 황개를 가리켜 말하기를,

 

네가 감히 나를 업신여기냐! 곤장 50대는 남겨 두겠다! 다시 태만하면 두 가지 죄를 함께 벌하겠다!”

 

했다. 분을 삭이지 못하고 연신 소리를 내며 막사 안으로 들어갔다.

 

衆官扶起黃蓋打得皮開肉綻鮮血進流扶歸本寨昏絕幾次動問之人無不下淚魯肅也往看問了來至孔明船中謂孔明曰今日公瑾怒責公覆我等皆是他部下不敢犯顏苦諫先生是客何故袖手旁觀不發一語孔明笑曰子敬欺我肅曰肅與先生渡江以來未嘗一事相欺今何出此言孔明曰子敬豈不知公瑾今日毒打黃公覆乃其計耶如何要我勸他肅方悟孔明曰不用苦肉計何能瞞過曹操今必令黃公覆去詐降卻教蔡中蔡和報知其事矣子敬見公瑾時切勿言亮先知其事只說亮也埋怨都督便了

 

관리들이 황개를 부축해 일으키니 살갗이 터지고 살이 찢어져 붉은 피가 줄줄 흘렀다. 본영으로 그를 부축해 옮기지만 몇 차례 혼절했다. 문안 오는 사람들이 눈물을 흘리지 않는 이 없었다. 노숙도 그를 찾아가 문안하고 공명의 배로 가서 그에게 말하기를,

 

오늘 공근이 노해서 공복(황개)을 꾸짖는데 우리는 모두 그의 부하라 감히 그 위엄을 범하여 간언을 올리지 못했소. 선생은 손님인데 어찌 팔짱을 끼고 방관하며 한마디 말씀도 꺼내지 않았소?”

 

하니, 공명이 웃으며 말하기를,

 

자경(노숙)이 나를 속이는구려.”

 

했다. 노숙이 말하기를,

 

제가 선생과 함께 강을 건넌 이래 아직 한 번도 속인 적이 없는데, 지금 어찌 그런 말씀을 하시오?”

 

하니, 공명이 말하기를,

 

자경께서는 공근이 오늘 황공복(황개)을 몹시 심하게 때린 것이 바로 그의 계책인 것을 어찌 모르시오? 그런데 나더러 그에게 어떻게 권하란 말씀이오?”

 

했다. 노숙이 그제서야 깨달았다. 공명이 말하기를,

 

고육계를 쓰지 않고서 어찌 조조를 속여 넘기겠소? 이제 반드시 황공복을 시켜 조조에게 거짓 항복하게 하고, 채중과 채화를 통해 그 사정이 알려지게 할 것이오. 자경은 공근을 만나거든 절대 제가 그 일을 먼저 알고 있더라고 말하지 마시오. 다만 공명도 도독을 원망하더라고 말씀해 주시오.”

 

했다.

 

肅辭去入帳見周瑜瑜邀入帳後肅曰今日何故痛責黃公覆瑜曰諸將怨否肅曰多有心中不安者瑜曰孔明之意若何肅曰他也埋怨都督忒情薄瑜笑曰今番須瞞過他也肅曰何謂也瑜曰今日痛打黃蓋乃計也吾欲令他詐降先須用苦肉計瞞過曹操就中用火攻之可以取勝肅乃暗思孔明之高見卻不敢明言

 

노숙이 작별하고 떠나서 주유의 막사에 들어가자 주유가 장막 뒤로 불러들였다. 노숙이 말하기를,

 

오늘 무슨 까닭으로 황공복(황개)을 심하게 책망하셨소?”

 

하니, 주유가 말하기를,

 

장수들이 원망하지 않소?”

 

했다. 노숙이 말하기를,

 

많은 사람들이 마음속으로 불안해 하지요.”

 

하니, 주유가 말하기를,

 

공명의 뜻은 어떠했소?”

 

했다. 노숙이 말하기를,

 

그도 도독을 몹시 박정하다고 원망했소.”

 

하니, 주유가 웃으며 말하기를,

 

이번은 그를 속여 넘겼구료.”

 

했다. 노숙이 말하기를,

 

무슨 말씀이오?”

 

하니, 주유가 말하기를,

 

오늘 황개를 몹시 친 것은 바로 계책이오. 내가 그를 거짓 항복시키자니 먼저 고육계를 써서 조조를 속여야 했소. 그리하여 불로써 그들을 공격하여 승리를 거둘 수 있소.”

 

했다. 노숙이 속으로 공명의 높은 식견을 떠올리지만 감히 말을 꺼내지는 않았다.

 

且說黃蓋臥於帳中諸將皆來動問蓋不言語但長籲而已忽報參謀闞澤來問蓋令請入臥內叱退左右闞澤曰將軍莫非與都督有仇蓋曰非也澤曰然則公之受責莫非苦肉計乎蓋曰何以知之澤曰某觀公瑾舉動已料著八九分蓋曰某受吳侯三世厚恩無以爲報故獻此計以破曹操吾雖受苦亦無所恨吾遍觀軍中無一人可爲心腹者惟公素有忠義之心敢以心腹相告澤曰公之告我無非要我獻詐降書耳蓋曰實有此意未知肯否闞澤欣然領諾正是勇將輕身思報主謀臣爲國有同心

 

한편, 황개가 막사 안에 드러누워 있는데 장수들이 모두 찾아와 문안했다. 황개는 아무 말 없이 길게 탄식할 뿐이었다. 문득 참모 감택이 문안하러 왔다고 알렸다. 황개가 그를 누워있는 곳으로 불러들이고 좌우를 물러가게 했다. 감택이 말하기를,

 

장군이 도독과 원수라도 지셨소?”

 

하니, 황개가 말하기를,

 

아니오.”

 

했다. 감택이 말하기를,

 

그렇다면 공이 처벌 받은 것은 고육계가 아니오?”

 

하니, 황개가 말하기를,

 

어찌 아시오?”

 

했다. 감택이 말하기를,

 

내가 공근(주유)의 거동을 살펴서 벌써 대충 알아차렸소.”

 

하니, 황개가 말하기를,

 

내가 오후(손씨)에게서 3대에 걸쳐 두터운 은혜를 입고도 보답할 길이 없어서 그 계책을 바쳐 조조를 격파하려 하오. 내가 비록 고통을 받아도 아무런 한이 없소. 내가 군중을 두루 살펴도 아무도 깊이 믿을 만하지 못하오. 오로지 공께서 평소에 충의의 마음을 지녔기에 마음을 터놓고 고하는 것이오.”

 

했다. 감택이 말하기를,

 

공께서 내게 알려주셨으니 이제 내가 거짓으로 항복하는 서신을 바쳐야 하지 않겠소?”

 

하니, 황개가 말하기를,

 

참으로 그런 마음을 가졌소만, 공께서 기꺼이 하실런지 모르겠소.”

 

했다. 감택이 흔쾌히 응낙했다. 이야말로, 용맹한 장수는 몸을 돌보지 않고 주공의 은혜를 갚으려 생각하고, 꾀 있는 신하는 나라를 위해 한마음이 되는구나.

 

未知闞澤所言若何且看下文分解

 

감택이 어떻게 말할지 모르겠구나. 다음 회를 보면 풀릴 것이오.

728x90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